본문바로가기

글로벌 링크

시민중심 열린의회 현장중심 생활의회 정책중심 책임의회 부천시의회

시정질문/답변

홈으로 회의록 의원발언검색 시정질문/답변
질문제목, 대수, 회기, 차수, 의원, 날짜 질문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
질문
박정산 의원
대수 제8대 회기 제252회
차수 제1차 날짜 2021.06.01.화요일
회의록 제252회 본회의 제1차 보기 영상
박정산의원 질문내용
1. 도시공사 관련
○ 도시공사 관련한 정책, 인력 등에 대하여 시가 지원해야 할 부분에 대한 정책과 사업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질의
답변자, 회기, 대수, 답변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
답변
대수 제8대 회기 제252회
차수 제2차 날짜 2021.06.23.수요일
답변자 부천시장 답변회의록 제252회 본회의 제2차 보기
답변내용
1. 도시공사 관련
【지난 회기(제248회) 4가지 정책제언에 대한 검토내용 및 추진상황】
○ 도시공사 집행기관으로 기회 부여 관련
- 공사 전환 후, 市가 정책적으로 추진하는 공공기반시설의 확충·조성·건설 등의 대행사업 수탁을 통해 공사 설립 취지에 맞는 모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.
- 완료사업 : 송내IC 공영주차장 조성 사업, 베르네복개부 도로조성 사업
- 추진 중인 사업 : 역곡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, 대장 공공주택지구 조성 사업, 스마트도시 특수목적법인(SPC) 설립, 주거복지센터 운영, R&D 종합선터 조성사업, 역곡다목적 체육센터 건립 사업, 부천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, 실내테니스장 건립사업
○ 역곡·대장지구 적기참여를 위한 출자 및 역곡지구 아파트 건설 참여 지원
- 대장지구 사업 출자는 도시공사와 협의하여 지분참여에 차질이 없도록 추진 중이며, 추경 편성을 검토 중에 있음.
- 아파트 건설사업 참여와 관련 사항은 도시공사와 내부적으로 협의 예정이며, 추후 市 지원사항(추가 출자 등)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검토하겠음.
○ 도시재생, 주거복지 사업 추진을 위한 부천형 주거도시모델 마련 등
- 부천형 주거도시모델 사업의 일환인 원미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에 대해 공사는 참여 의견을 제시했으며, 세부 사업추진 사항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인 시, LH, 도시공사가 면밀히 협의해 나가고 있음.
○ 도시공사 혁신방안 제시 요망
- 공단 위주의 업무 및 조직운영 형태에서 벗어나, 내·외부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성과중심의 조직재설계 및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신규사업 발굴, 직원역량 강화 등 다방면의 자구 노력 필요

【정책과 집행 분리를 위한 7월 조직개편안 반영 여부】
○ 부천도시공사는 市가 100% 출자한 공기업이나 市 소속 하부조직이 아닌 독립법인으로서 부천시 7월 조직개편과는 무관하나,
○ 다만, 부천도시공사 또한 7월중 조직개편을 계획 중에 있어, 추후 조직 개편에 따른 승인 요청 시 보다 효율적인 조직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겠음.
○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시설관리 단순 인력은 줄이고,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전문인력 구성 비율을 높여 공사가 자생력 및 경쟁력을 갖춘 조직으로 거듭나도록 하겠음.

【출자 동의 자본금 납부 시기 및 추가 출자 여부】
○ 부천도시공사는 2021. 6월 현재 자본금 323억원으로 도내 22개 공사 중 자본규모가 15번째이나, 700억원 추가 출자 시에는 도내 8번째의 자금 규모로 중위권에 속하게 됨.
○ 대장지구 사업 출자는 도시공사와 협의하여 지분참여에 차질이 없도록 추진 중이며, 추경 편성을 검토 중에 있음.
○ 아파트 건설사업 참여와 관련 사항은 도시공사와 내부적으로 협의 예정이며 추후 市 지원사항(추가 출자 등)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검토하겠음.

【향후 5년간 시 전체 시설물에 대한 운영과 조직관리 방안】
○ 市 직접 관리시설(청사 건물 등 제외)은 어울마당 3개소로 약 70여명의 인력 및 52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며, 민간위탁 관리시설은 원미노인복지관 등 총 121개소로 약 2,180여명의 인력 및 296억원의 비용이 소요, 부천도시공사 대행 관리시설은 부천종합운동장 등 480여개소로 약 540여명의 인력 및 550억원의 비용이 소요되고 있음.
○ 향후 5년간 역곡다목적체육센터 등 약 40여개의 관리시설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, 각 시설 완공 후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해당 시설 특성과 수탁 기관 관리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후 관리주체를 선정해나갈 예정임.